본문 바로가기
  • 함께 즐거우면 더 좋지 아니한가!
고향 이야기/흑백다방 그리고…

흑백의 11월 프로그램과 김승강 시인

by 실비단안개 2006. 10. 30.
728x90

 

11월부터는 흑백의 매주 수요일 저녁의 프로그램이 약간 변경이 됩니다.


첫째, 둘째주는 예전과 변함없고, 넷째주에 있었던 "연극엿보기, 맛보기" 프로그램은

진행자이셨던 극단 "고도" 의 바쁜 일정 관계로 취소가 되었습니다.

11월부터 셋째주 수요일에는 "LP 와 함께하는 음악감상" 이라는 새로운 프로그램이

시작됩니다. 흑백에서 소장하고 있는 LP 를 감상하거나, 또는 함께 듣고 싶은 LP 가

있으시면 셋째수요일 저녁에 흑백에 들고 오셔서 어느 누구이든지 직접 진행, 해설하셔도 좋고,

같이 음악을 감상하고 따뜻한 이야기과 차를 나누는 시간이 되었음 좋겠습니다.

그리고 "작은 피아노연주회" 는 네째주로 변경됩니다.

 

 

* since1955 흑백의 수요프로그램 * 
첫째수요일 "해설이 있는 음악회" (진행 ; 차병배)
둘째수요일 "영화음악 & 올드팝스" (진행 ; 설효숙)
셋째수요일 "LP와 함께하는 음악감상" (임시진행 ; 유경아)
넷째수요일 "작은 피아노연주회" (진행 ; 유경아)

 

 

 

유경아 피아노 연주회

 

F. CHOPIN "der Abschied 이별"


언제 ; 2006. 11. 22 (수) 20;00
어디서 ; since1955 흑백
진행, 피아노 ; 유 경 아

 

............Openning...........
이지민...BACH 12개의 작은 프렐류드 중에서 No.8 in F-Major
& Invention No.14
김혜빈...BACH 6개의 작은 프렐류드 중에서 No.1 in C-Major
& Invention No.13
김은지...MOZART Pno Sonata No.10 move.1 in C-Major

 

"이별 - 내 안에 울리는 노래"
나의 기쁜 맘 그대에게 바치려하는
이 한 노래를 들으소서 그대를 위한 노래
정답게도 정답게 이 내 가슴 불타올라
나의 우정을 받아 주소서 그리운 벗
떠나가면 나만 홀로 괴로움을 어이하리
언제 다시 만나려나 아 그리운 벗
나의 우정을 잊지 마소서 그리운 벗

 

WALTZ
Grande Valse Brillante op. 34-2 in a-minor
Valse op. 64-2 in c#-minor
Valse op. 69-2 in b-minor

 

MAZURKA
Mazurka op. 6-2 in c#-minor
Mazurka op. 7-2 in C-Major
Mazurka (Quatre Mazurkas 중에서) op. 17-1 in Bb-Major
Mazurka op. 67-3 in C-Major
Mazurka op. 41-3 in Ab-Major
Mazurka op. 6-3 in E-Major
Mazurka op. 30-3 in Db-Major
Mazurka op. 33-2 in D-Major

 

NOCTURNE
Nocturne op. 72-1 in e-minor
Nocturne op. 27-2 in Db-Major

 

Ballade
No. 4 op. 52 in f-minor

 

Etude op. 10-3
"In mir klingt ein Lied 이별 (내 안에 울리는 노래)" in E-Major

 

 

미행 - 김승강

 

옆길로 돌아갈까 하다가

우연히 네 뒤를 밟고 말았다

무릎까지 오는 치마를 받쳐 입고

연뿌리 같은 종아리를 드러낸 채

아무도 없는 골목길을

걷고 있는 너는

네 발목이 예쁜 걸 아니,

적산가옥 늙은 백목련

담 밖으로 흰 꽃잎 툭툭 떨굴 때

모르는 네 발목이 너무 슬퍼서

네 뒤를 밟으며

나는 또 울었다.

 

김승강 시집 <흑백다방> (열림원, 2006) - 혹여 책방에 가는 길 있걸랑, 김승강님의 시집 '흑백다방'에 눈길 한번 주시기 바랍니다.

 

 

◈ 김승강 시인이 찾은 진해

 

진해가 눈물겨운 것은 봄날 핀 벚꽃이 질 때의 감상(感傷) 때문이 아니다. 진해가 눈물겨운 것은 진해에서 마산으로 넘어가는 구도로의 터널 아래에 섰을 때 아래로 내려다보이는 시가지의 착한 지붕들 때문이다. 자신의 몸 위로 내려 꽂히는 햇살을 지붕들은 몸으로 안아낸다. 지중해 연안 국가들의 지붕이 빵을 구워내는 화덕처럼 붉은 색으로 달구어져 햇살을 구워내는 것과 달리 우리의 지붕들은 검은 무쇠솥의 흰 쌀밥처럼 담백하고 순결한 표정으로 햇살을 삶아낸다.

  지붕들이 내려다보이는 곳에서 조금 위쪽에 구터널이 뭍으로 방금 잡혀 올라온 물고기의 입처럼 크게 입을 벌리고 있다. 그 입 속으로 바람이 연신 들락거린다. 그 입 속에서 진해의 바람이 시작되는 지도 모른다. 터널은 이미 용도폐기된 지(완전히 용도폐기된 것은 아니지만. 경제적 의미에서)가 오래다. 바람은 이를테면 붓이다. 이맘때면 터널 속에서 찬 바람이 일어난다. 찬바람은 먹을 듬뿍 먹은 붓이다. 바람은 종횡무진 허공을 내달리다가 턱턱 모필(毛筆)에 닿는 사물을 흑백의 담채로 터치한다.

 

진해 집들의 지붕이 가장 잘 내려다보이는 곳에 포장마차 칼국수 집이 있다. 늦가을 어느 날 친구가 그 집 칼국수가 맛있다면서 앞장섰다. 칼국수 집에서 칼국수가 나올 때를 기다리며 막걸리를 시켜놓고 마시고 있는데. 포장집 한쪽 벽의 주황색 천막은 늦가을 빛을 투명하게 받아내고 있었다. 남향의 입구 문은 아직 닫을 필요가 없어 열어 놓았는데. 그 입구는 마치 카메라의 앵글처럼 바로 앞 바깥풍경을 담아내고 있었다. 그 풍경 속에는 한 다발의 붉은 열매가 늦가을 햇살을 받아 자글자글 끓고 있었다. 그 붉은 색은 차라리 투명했다. 나는 무슨 생각이 떠오른 사람처럼 급히 밖으로 뛰쳐나갔다. 그러나 그 입구가 담아내었던 투명한 빛의 풍경은 간 데 없었다. 바람의 모필이 그 풍경을 그 순간에 지우고 저만치 달아나고 있었다. 그때부터 겨울이 시작되고 있었을 것이다. 바람이 이미 차져 있었다.

 

  햇빛이 얇아지는 이맘때면 흑백다방의 존재는 더 귀하다. 바람을 닮아 있는 다방. 흑백다방은 문을 밀치고 들어 가면 먼저 바람이 휙 일어난다. 그 바람 속에는 금속성 소리가 섞여 있다.

  흑백다방의 ‘흑백’을 아무도 흑백논리의 ‘흑백’으로 이해하려고 하는 사람은 없다. 그것은 흑백다방이 얼마나 정갈하게 그 자리를 지켜왔는지를 증언한다. 흑백다방의 ‘흑백’은 양자택일을 강요하는 흑백이 아니다. 빛의 양 궁극이 그렇듯이 모든 것을 받아낸 뒤의 흑이고 백이다. 담백한 수묵의 바람이 그렇듯이. 저 팔십 년대를 새파란 청년으로 살면서 나는 흑백이 흑백논리의 흑백이 아니라는 것에 얼마나 위로를 받았는지 모른다. 흑백다방에 몇몇 친구들과 둥지를 틀고 있었지만(나는 완전히 튼 것은 아니었다) 흑백다방은 우리의 둥지를 거웃거리며 우리의 이야기를 엿듣지도 않았고 우리에게 무언가를 가르치거나 충동하려 하지도 않았다. 포스트모던의 시대가 모자라 다시 후기 포스트모던시대라고 하는 이 시대에 여전히 흑백다방이 살아남은 것은(그렇게 말할 수 있다면) 그 때문일 것이다. 내가 그 폭풍의 시대를 지나 온전히 한 시인이 될 수 있었던 것처럼. 그 시대에 대해 부채감을 느끼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그 시대에 부화뇌동하지 않은 것은 지금 생각하면 다행이었다.

 

  나는 내 시에서 흑백다방이 골다공증을 앓고 있다고 쓴 적이 있다. 목조건물인 흑백다방의 이층에서 서로 어깨를 대고 있는 목재와 목재가 어긋나면서 나는 소리를 생각하고 그렇게 썼다. 그러나 흑백다방에는 이전에 없던 피아노가 한 대 중앙에 놓여 있는데. 골다공증을 보여주는 엑스레이 사진이 그렇듯이 그 피아노의 건반도 흑백이다. 흑백다방은 스러져가면서 또 새롭게 태어나고 있는 것이다.

 

 바람은 흑백다방에서 속천바다로 달린다. 바람은 해군사관학교 앞 남원로터리를 돌아 왼쪽에서 첫 번째로 마주치는. 지금은 사라지고 없는 고아원으로 쓰였던 이층 일본식 건물과. 지금은 속천 북쪽해안선을 끼고 이동(泥洞)과 연결되는 도로가 난. 그 속내를 알 수 없는 오래된 한 집을 크게 터치하고 내해를 빠져 외해로 나아간다. 이때는 봄이 시작되고 있을 즈음일 것이다.

이 두 집에서 나는 가장 아름다운 목련꽃을 본 듯한데. 목련만큼 흑백의 대비를 극적으로 보여주는 꽃이 또 있을까? 두 손을 손등을 봉곳하게 하여 합쳐 놓은 것 같은 목련은 착한 시인의 첫시집처럼 깨끗하고 정갈하다. 이와 달리 꽃잎을 활짝 벌리고 있는 목련꽃은 허공에서 눈물이라도 찍어내겠다는 듯 손바닥을 펴고 가운데 손가락을 살짝 올린 여인의 흰 손 같다. 목련이 그 흰 꽃잎을 극적으로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그 배경에 깊은 어둠이 받쳐줘야 한다. 바람의 모필은 목련꽃 뒤의 배경을 깊게 터치하는 방법으로 목련꽃을 극적으로 그려낸다. 위의 두 집에서 목련꽃이 가장 아름답게 보였던 것은 그 집들이 내밀하게 숨기고 있는 어둠 때문일 것이다. 일본식 집들의 미궁 같은 깊은 속내가 그 배경일 것이다.

  이때쯤 일어나는 바람이 모필이 터치하는 진해 구터널 밑에서 내려다본 착한 집들의 지붕들과. 흑백 티브이나 흑백사진첩을 연상하게 하는 흑백다방에서 보낸 내 젊은 날의 한철과. 목련을 가장 아름답게 받쳐주던 속천으로 가는 길목의 집과 속천의 그 집이 눈물겨운 것은 이미 내 곁에 겨울이 와 있기 때문일 것이다.(김승강)

김승강 시인은 1959년 마산에서 태어나 진해에서 성장했다. 시인은 ‘문학·판’으로 등단하여 창원에서 작품활동을 하고 있다. (출처 : 경남신문 문화면 2005-11-30)

 

 

흑백다방 - 김승강

 

그 다방은 이전에도 다방이었고
지금도 다방이다.
정겨운 이름, 다방
티켓다방 말고 아직도 다방이라니,
오래 산것이 자랑이 아니듯
다방이 오래되었다고 자랑할 일은 아니다.
오래된 것으로 치면
그 다방이 있는 건물이 더 오래되었다.
그 다방은 일본식 이층건물 일층에 있다.
그래도 자랑할만한 것은
다방 양옆으로 지금은 인쇄소와 갈비집이 있는데
그 인쇄소와 갈비집이
우리가 오래된 사진을 꺼내볼 때
양옆으로 선 사람이 사진마다 다르듯
여러번 주인을 바꾸었다는 것이다.
그 다방에서 만난 내 친구 중에는
둘이나 벌써 저 세상에 가 있다.
사람들은 집에서도 커피를 끓여마시고
자판기에서도 커피를 빼 마신다.
그런 동안에도 여전히 그 다방은 커피를 끓여내오고
오래된 음반으로 고전음악을 들려준다.
그러나 그 다방도 세월의 무게를 이길수 없었는지
얼마전 아내를 먼저 떠나보내고
매일아침 삐걱거리는 관절의 목제 계단을 올라가
이층에서 하루종일 그림을 그리던 화가 주인을
저 세상으로 떠나보내고
피아노를 치는 둘째딸을 새주인으로 맞았다.
늙은 화가 주인이 떠난 뒤로
머리위에서 무겁게 발끄는 소리는 더이상 들리지 않았지만
이번에는 목제 건물의 관절마다 박힌 못이
녹슬어 스러지는 소리가 바람결에 들리는듯 했고
그때마다 그 다방은 치통을 앓듯, 관절염을 앓듯
신음소리를 내었다.
엑스레이를 찍으면 골다공증을 앓고있을
정겨운 이름 흑백다방

 

* 피아노를 치는 둘째딸이 들려주는 음악 이야기 = http://eroom.korea.com/bechstein 

 

728x90

'고향 이야기 > 흑백다방 그리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茶 우리기와 茶 맛보기  (0) 2006.10.31
시월 마지막날 놀아 주기  (0) 2006.10.31
흑백, 2층  (0) 2006.10.22
흑백의 가을밤  (0) 2006.10.19
10월, 흑백의 수요일 밤  (0) 2006.10.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