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함께 즐거우면 더 좋지 아니한가!
마음 나누기/가본 곳

서라벌은 서라벌이었다!

by 실비단안개 2007. 7. 31.
728x90
728x90

'마음 나누기 > 가본 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시

신라 천년의 고도로서 풍부한 신라의 문화유산과 동질성을 고스란히 지켜온 세계적인 문화관광도시이다. 1995년 전형적인 농촌지역이던 경주군과 하나의 통합시를 이루었다. 감포읍·안강읍·건천읍·외동읍·양북면·양남면·내남면·산내면·서면·현곡면·강동면·천북면·노동동·서부동·동부동·북부동·성동동·황오동·노서동·성건동·석장동·사정동·탑정동·율동·배동·황남동·인왕동·교동·서악동·충효동·효현동·광명동·동방동·도지동·남산동·평동·구황동·보문동·배반동·황성동·용강동·동천동·구정동·시대동·시동·조양동·진현동·마동·하동·천군동·신평동·북군동·손곡동·덕동·황룡동·암곡동 등 4개읍 8개면 44개동이 있다. 시청소재지는 노동동이다.

 

연혁

진한의 중심지였고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는 6·25전쟁의 피해를 입지 않아 우리나라 최대의 유물·유적이 보존된 거대한 야외 박물관이다. 많은 청동기 유물들이 경주시 전역에서 발견되고 있어 신라의 전신이며 경주 6촌에서 성장한 사로국의 생활모습을 짐작케 한다. 57년 6부의 촌장들이 박혁거세를 거서간으로 추대하고 나라이름을 서야벌(徐耶伐)이라 했다. 65년(탈해왕 9)에는 국호를 계림(鷄林)으로 고치고, 307년(또는 503년이라고도 함)에 국호를 신라라 했다. 935년 경순왕이 왕건에 항복하자 경주로 개칭하여 경순왕의 식읍으로 주었으며, 경순왕을 경주의 사심관으로 삼았다. 940년 대도독부로 승격했다가 987년 동경(東京)으로 이름을 바꾸고 유수(留守)를 두어 영동도(嶺東道)에 속하게 했다. 1012년 경주방어사로 강등되었으며, 1015년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로 개칭했다가 1031년 동경으로 환원했다. 이때 흥해(興海)·장산(章山)·수성(壽城)·영주(永州) 등의 속군과 안강(安康)·신녕(新寧)·자인(慈仁)·하양(河陽)·청하(淸河)·연일(延日)·해안(解顔)·신광(神光)·기계(杞溪)·장기(張) 등의 속현이 있었다. 1202년 경주야별초의 반란으로 지경주사(知慶州事)로 강등되었다가 1219년 동경으로 환원되었다. 1308년 계림부윤으로 바꾸었다가 1413년 경주로 정해졌다. 1415년 병마절도사영을 두었다가 1417년 울산으로 이전했다. 1637년 속현인 자인현이 분리·독립했다. 별호는 금성(金城)·월성(月城)·낙랑(樂浪)·금오(金鰲)·문천(蚊川)이었다. 경주의 고읍으로는 대성군(大城郡)·약장현(約章縣)·상성군(商城郡)·임관군(臨關郡)·안강현(安康縣)·기계현(杞溪縣)·신광현(新光縣)·음즙현(音汁縣)·장진현(長鎭縣)이 있었다. 1895년 지방관제 개편으로 군으로 바뀌어 대구부 관할이 되었다가 1896년 경상북도에 속했다. 1931년 경주면이 읍으로 승격했고, 1955년 경주읍과 내동면 전역, 천북면과 내남면 일부가 통합되어 경주시로 승격했으며, 경주군은 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1989년에는 다시 월성군이 경주군으로 개칭되었다. 1995년 지방자치선거를 앞두고 실시된 전국행정구역개편으로 경주군과 통합되어 경주시라는 하나의 도농통합시를 이루었다. (출처 : 다음백과)

 

☆.. 더 많은 자료 보기 : http://enc.daum.net/dic100/viewContents.do?&m=all&articleID=b01g3225b

 

 

경주는 눈에 익은 골목인듯 하면서도 낯선 땅이다. 市라는 표현도 낯설고.

그동안 경주는 몇번 갔었는데, 꺼리가 워낙 많은 지역이다보니 언제나 부분만 스치는 꼴이었는데, 어제도 마찬가지였다. 연꽃과 가시연을 만나고 돌아 오는 길에 확실한 서라벌 풍경을 만났는데, 과히 장관이었다.(어쩌면 나만 그런지 모르겠지만.)

 

황남빵집에서 나와 고속도로로 가는 길의 황남동 고분이었으며, 미발굴 고분이라고 하였는데, 고분의 잔디를 깎고 있었으며, 능 앞으로 작았지만 연꽃이 피어 있었다.

그때 외국인 몇분이 자전거를 멈추고 그 풍경과 우리들을 담았으며, 나도 그들의 모습을 마주 담았다. 내게도 낯선 서라벌 풍경이 그들은 얼마나 신기하였을까. 도로변에는 부용이 분홍으로 피었는데, 이방인 같은 부용 또한 잘 어울리는 서라벌의 도로였다.

 

       

 

       

 

       

 

       

 

       

 

       

 

 

                        시정에서 부르는 원효의 노래 - 고영섭


                              햇살 드높은 서라벌의 하늘 크게 저으리

                              무애박이 깨지도록, 어깻죽지가 빠지도록

                              서울 네거리를 춤추며 노래하리

                              해진 삼태기에

                              떨어져 뒹구는 낙엽들을 담아 넣고

                              춤사위 한자락 크게 두르며

                              시정 속으로 들어가리


                              들풀들이 아프면 나도 아프리

                              모든 것에 걸림 없는 한 사람이 

                              한 길로 삶 죽음을 벗어났느니

                              자루 없는 도끼를 내게 준다면

                              하늘 떠받친 기둥을 끊으리


                              그날 요석다리 아래에 떨어져 

                              개천 시궁창 안의 진한 악취와

                              양편 둑 위에 질펀히 자라나는 

                              풋풋한 들꽃들의 땀냄새를 맡았네


                              짙은 향내음과 촛농에 코막혔던 지난날

                              두드리는 목탁소리에 귀먹었던 날

                              서걱이는 들풀들의 가는 목덜미를

                              매운 바람이 움켜쥐고 쓰러뜨릴 때도 나는

                              들꽃 피어난 서라벌 들판에

                              질긴 잔뿌리 되어 내리지 못하고

                              먹내음 그득한 서실 안에서

                              말씀만을 풀이하고 앉아 있었네 


                              마땅히 어디서 누구를 건져야 하리

                              천민촌 북천을 뛰쳐나가는 내게

                              뒷통수를 찌르듯 던진 한 마디 대안스님 말씀과

                              저자거리의 불목한이로 남아

                              난지도 쓰레기장에 모여드는

                              잠 못 드는 영혼들을 데워준 나를

                              잘 가게 하며 알아보신

                              뒷방 늙은이 우리 방울스님 말씀을

                              저자 속에서야 비로소 깨달았네


                              모두 다 버려야만 보이는 들풀들을

                              두 눈으로 꿰뚫어 보면서

                              부질없이 질러버린

                              종요(宗要)와 논소(論疏)의 문빗장을 열어 젖히고

                              두드리는 박소리와 휘젓는 춤사위로

                              뭇 삶들의 바다 속에서

                              자맥질하기로 했네.

       

 

       

 

 

 

마음까지 초록으로 물드는 무진정(無盡亭)과 영송루(迎送樓)  (0) 2007.08.07
해질 무렵 다대포해수욕장 풍경  (0) 2007.08.01
고성 박진사 고가(朴進士 古家)를 찾아  (0) 2007.07.27
몇 종의 수련과 낭산다례원  (0) 2007.07.26
조용히 느끼고 싶은 섬, 욕지도(欲知島)를 걸었다!  (0) 2007.07.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