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함께 즐거우면 더 좋지 아니한가!
고향 이야기/진해 식물원

진해 식물원 12월의 꽃과 열매

by 실비단안개 2010. 12. 10.
728x90

 

진해 식물원으로 가는 길에 춘추벚꽃이 눈송이처럼 하늘거립니다.

춘추벚은 수양벚처럼 늘어지기에 추운 날씨와 함께 애잔하게 보여 마음을 주고 싶지않은 꽃이기도 합니다.(진해 농업기술센타에서 화 낼라)

한 컷 찍어볼까, 됐네요….

 

나도 몰랐는데 식물원 원장님께서 1년은 된것 같다고 합니다.

돌아 와 블로그에서 확인하니 정말 1년여만에 식물원을 방문했습니다.

그렇게 바빴었나, 무관심 했었나 싶습니다.

 

 

무거운 문을 열자 식물원은 봄날같기도 했고 열대지방 같기도 했습니다.

바깥 풍경과는 딴판인 실내는 웃옷을 벗게 했습니다.

 

 

야자수 종류와 바나나나무는 식물원 ㅊ천장을 뚫을 것 같은데 어떻게 처치를 할지 궁금합니다.

열매를 맺기전까지 헷갈리는 산호수가 붉은 열매를 달았으며, 죽절초도 열매를 가득 달았습니다.

 

 

꽃기린은 쉬지않고 꽃을 피우기에 식물원도 예외가 아닙니다.

우리집과는 달리 식물원의 꽃기린은 키가 작은데 빛을 많이 받기에 그런 모양입니다.

천사의 나팔(엔젤드럼펫)이 하얗고 호박색같은 큰 꽃을 피웠지만 꽃의 크기만큼 따로 담기에는 부담스러운 꽃입니다.

 

 

흔하지만 식물원에 가면 안부가 궁금한 아부티론(Abutilon)입니다.

풍선처럼 생긴 꽃은 순진하게 보입니다. 활짝 되바라지지 않아서 그런 모양입니다.

아부티론 원산지는 브라질이며, 빨간색이 꽃받침이고 노란색이 꽃이며, 종처럼 아래를 향해 대롱대롱 매달려있는 모습이 많이 예쁩니다.
브라질 아부틸론은 샐비어(사루비아)나 오디처럼 달콤한 꿀이 나오는 꽃 중 하나로 브라질에서는 샐러드나 주스를 만들어 먹기도 한다고 합니다.

 

새식구입니다.

마치 결명자꽃처럼 생겼으며, 나무에 피었는데 이름표가 없어 원장님께 이름을 물으니 '캐샤 ㄴ'가 그렇다면서 검색을 해 보라고 했는데 곧 나가야 하기에 야사모에 접속할 시간이 없기에 다음에 동정을 구해야 겠습니다.

 

 

극락조화(極樂鳥花)는 천사의 나팔보다 더 부담스러운 꽃입니다. 잎에 싸여 있어 그렇기도 하지만, 어느 부분을 어떻게 담아야 할지 아득한 꽃입니다.

극락조화는 남아프리카가 고향이며, 꽃은 초여름부터 피기 시작한다. 꽃말은 '사랑을 위해 멋을 부린 남자'이며, '영구불변'의 의미도 있어 고달픈 인생살이에 지쳐 있는 사람들에게 희망의 꽃이 되기도 합니다.

 

칼랑코에(Kalanchoe)가 꽃잎을 열기 시작합니다.

꽃잎을 열더라도 그 속을 보려면 꽃을 뒤집거나 내가 엎드려야 하니 속을 구경하기 쉽지않은꽃입니다. 칼랑코에의 다른 이름은  칠변초, 깔라쪼이입니다.

Kalanchoe(칼랑코에)의 꽃말은 Popularity (평판, 인기, 인망)이며, 직사광선을 좋아하므로 실내에서 기를 때는 가능한 밝은 곳에 두고 칼랑코에(Kalanchoe)는 다육식물 (야생서식지, 건조지대에서 오랜가뭄에 생존하기 위해 줄기나 잎에 양분을 저장하는 식물)로 물주기에 주의하면 쉽게 기를 수 있는 꽃입니다.

 

물방울을 머금은 알로에콘푸사는 아주 매력적인데 어제는 물을 주는 날이 아닌지 마른듯 하였으며, 늘 꽃을 피우는 란타나도 노랗고 붉은 꽃을 피웠습니다.

 

 

실외의 시계꽃은 지금 모두 말랐는데 실내에선 시계꽃이 계절을 잊고 피어 있습니다.

우리집의 시계꽃은 아직 어리기에 자꾸 뻗기만 하는데 해가 바뀌면 꽃 구경을 할 수 있을지 궁금 반 기대 반입니다.

 

 

산호수 나무와 비슷하지만 열매가 뭉쳐 열렸으며 산호수 열매보다 작은 이 식물은 죽절초입니다.

마치 사랑의 열매같은 데 우리나라에 빨간 열매를 맺는 나무가 많기에 딱 이 나무의 열매다라고 답을 하기에는 애매합니다만, 식물원 원장님과 나는 죽절초 열매를 사랑의 열매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사랑의 열매는 1970년 초부터 수재의연금과 불우이웃돕기 성금을 모금할 때 보건복지부 산하 이웃돕기추진운동본부에서 사랑의 열매를 상징으로 사용해왔으며, 사랑의 열매 형태는 우리나라 야산에 자생하고 있는 산열매를 형상화했다고 합니다.

 

한편, 2003년 2월 산림청에서 '백당나무'를 이달의 나무로 선정하면서 사랑의 열매와 닮은 점을 언급해 눈길을 끌지만, 사랑의 열매를 가장 많이 다는 달은 12월이며, 백당나무는 2월의 나무입니다.

이런 가운데 12월 초에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멸종위기에서 보호되고 있는 '죽절초'를 12월의 나무로 선정하였습니다.

 

한 때 멸종위기식물이었던 죽절초는 자생지에서 씨앗을 가져와 번식하는 방법을 알아내었고, 대량으로 증식을 시켜 복원이라는 과정을 통해 다시 자연으로 많은 개체를 되돌려 스스로 살아가도록 하였으며, 관상용 등 상업적으로 인간이 필요한 수요는 대량으로 증식된 개체로 대체시킴으로서 죽절초를 멸종이라는 단계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여 지금은 관상수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죽절초는 홀아비꽃대과(科)에 속하는 늘푸른잎을 가진 나무로, 긴타원형의 잎은 마주 달리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6~7월에 가지의 끝부분에서 연한 녹색으로 피고, 열매는 10월에 붉은색으로 영글며, 번식은 씨뿌리기, 꺾꽂이 그리고 포기나누기로 가능합니다.

 

사랑의 열매의 뜻을 흐린 관계자들 때문에 올해부터는 사랑의 열매를 달지 않겠습니다. 

 

 

서양봉숭아라고 하는 뉴기니아임파첸스입니다.

우리나라 봉숭아와는 꽃 모양이 다르지만 퇴화직전인 꽃자루와 봉오리를 보면 봉숭아와 닮았습니다.

열대 아프리카가 원산지며, 1년초로 화경은 4~5cm이고 색깔이 매우 풍부합니다.

 

 

역시 안부가 궁금했던 캐리안드라입니다.

놀랍게 옆에 잎과 꽃의 색이 다른 캐리안드라가 있었습니다.

가지에 걸린 이름표를 보니 이름이 같기에 원장님께 여쭈니 캐리안드라라고 불러주면 된다고 합니다.

야한 이 꽃의 이름을 몰라 처음엔 애를 먹었습니다. 그만큼 귀했던 꽃인데 요즘은 좀 오르더군요.^^


붉은분첩(Red Powder Puff) 이란 영명을 지닌 이 콩과 식물은 브라질, 볼리비아 원산으로 학명은 Calliandra haematocephala 입니다. 캐리안드라는 자귀나무꽃과 흡사하여 '홍자귀'라고 검색이 되기도 하는데, 홍자귀는 캐리안드라와 다릅니다.

- 참고 : 캐리안드라(Calliandra)와 하와이 무궁화

 

 

몽키바나나와 크기가 비슷하지만 색이 다릅니다.

우리나라 바바나인 으름의 씨앗같은 검은 게 살 속에 있고.

원장님 원장님~

아! 꽃바나나에요, 그렇지만 먹진 못합니다.

 

몇 번이나 천장에 닿을 듯한 바나나 한 번 처다보고 꽃바나나 한 번 처다보고 했습니다.

껍질이 벗겨지는 모습이 마치 꽃 같아 꽃바나나라고 하는 모양입니다.

- 참고 : 으름과 바나나꽃과 그 열매

 

 

진해식물원에는 아래처럼 여러 열매도 있습니다.

따 먹지는 못하지만 겨울에 이름표를 달고 익고 있는 과일을 보면 신기하며, 커피와 우리가 잘 아는 금귤도 있답니다.

야외 활동이 주춤거려 진다면 진해식물원으로 오세요.

안내는 당연히 해 드립니다.^^

 

▲ 선인장 열매(먹을 수 있음)

 

 

 

참 비교되는 온도계가 있기에 올립니다.

얼마전 나무에 못질하여 건 진해 환경생태공원의 온도계와 시계를 올렸는데, 진해식물원의 온습도계는 머인수나무에 구리철사를 둘러 달아 두었더군요.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