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함께 즐거우면 더 좋지 아니한가!
마음 나누기/가본 곳

폐사지 법림사 안동 동부동 오층전탑과 당간지주

by 실비단안개 2018. 8. 22.
728x90

8월 15일

청량리발 무궁화호는 10시 11분 안동역에 도착합니다. 1시간 정도 시간이 남았지만 장거리 운전으로 피곤할 것 같기에 근처의 볼만한 곳에 가자는 말을 못 했습니다. 덕분에 안동역 구석구석을 살피게 되었는데 역광장으로 나오니 철우회관 앞 주차장 한켠에 잘 생긴 탑이 보였습니다.

그냥 스칠 성격이 아니기에 주변에 앉아 있는 남자분에게 탑으로 가려면 어디로 가야 할까요 물어보니 안동인이 아니라 잘은 모르지만 주차장으로 가면 되지 않을까요 하기에 감사하다는 인사를 한 후 주차장을 걸어 탑쪽으로 갔습니다. 누군가 늦은 아침을 먹는지 아점인지 주차장 앞 밥집에서 간고등어 굽는 냄새가 역전에 그득했습니다. 안동으로 오는 길에 휴게소에서 해장라면을 먹긴 했지만 음식냄새를 맡으니 배가 고파 오는 듯 했습니다. 그러나 아이들과 함께 점심을 먹어야 하기에 참아야 했습니다.

 

 

안동 동부동 오층전탑입니다. 전탑이란 흙으로 만든 벽돌을 이용하여 쌓아 올린 탑을 말합니다. 여름꽃 배롱나무꽃까지 피어 있어 벽돌탑과 잘 어울렸지만 주차장 한 켠에 버려진 듯 하여 마땅치 않았습니다.

 

 

 

안동 동부 오층전탑

보물 제 56호

안동시 운흥동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전탑이다. 한국전쟁 때 일부 파괴되었던 것을 1962년에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탑은 건립된 이후 여러 번의 수리를 거치면서 원형이 일부 변경되어 왼관이 많이 손상되었다. 이 곳은 법림사(法林寺)의 옛터라고 전하여지는데, 서편 약 5m 지점에 떨어져 있는 당간지주(幢竿支柱)가 이를 뒷받참하여 준다.

탑의 높이는 8.35m이며, 탑신부는 길이 27.5cm, 너비 12.5cm, 두께 6cm의 무늬가 없는 벽돌을 사용하여 길고 짧음이 어긋나게 5층으로 쌓았다.

이 탑은 원래 7층이었으며, 법종사탑과 같이 금동제이 상륜부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 탑은 각 층마다 불상으로 모시는 감실이 형식적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지붕돌 윗면의 기와와 함께 목탑의 잔재로 보아야 할 것이다. 2층 남쪽에는 인왕상 2구를 조각한 화강암 판석이 설치되어 있다.

 

보물 56호 동부동 오층전탑을 아래에서 위로 보고 찍었습니다.

지붕돌은 벽돌을 사용한 것에서 오는 제약 때문에 처마 너비가 일반 석탑에 비해 매우 짧습니다. 밑면의 받침수는 1층부터 차례로 10단, 8단, 6단, 4단, 3단으로 줄어 듭니다. 처마끝에는 기와골을 받기 위해 촘촘하게 나무를 서까래처럼 얹고 4층까지 기와를 입혀 놓았습니다. 지붕모양은 탑신의 감실과 더불어 목탑양식의 흔적을 보여 주며, 탑의 꼭대기에는 머리 장식으로 복발(엎어놓은 그릇 모양의 장식)만 남아 있습니다.

'동국여지승람'이나 '영가지'의 기록에는 탑 꼭대기 장식이 금동제였는데, 임진왜란 때 명나라 군인들이 훔쳐가면서 붕괴되어 선조31년(1598)에 7층이었던 탑을 5층으로 개축하였다고 하므로 처음 쌓은 7층이었던 전탑은 지금의 모습과는 큰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짐직된다고 합니다.

당시 이곳에 '법림사'라는 절이 있었고, 그 절터는 지금의 안동역에 편입되었다고 하며, 실제로 오늘날 5층 전탑은 안동역 구내에 자리를 하고 있는데 전탑 뒷편(서쪽)에는 절터였음을 알려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였던 당간지주가 남아 있습니다.

 

 

2층 남쪽면에는 두 구(軀)의 인왕상(仁王像)을 조각한 화강암 판석이 끼워져 있습니다.

 

 

 

 

무늬없는 벽돌로 쌓은 오층전탑은 기단부는 땅에 묻혀 있습니다. 탑의 기단부는 화강암 3단입니다.

1층 감실(龕室) 아랫단에 무슨 무늬가 있는데 울이 있었기에 근처에 가지는 않았는데 연꽃무늬 비슷합니다. 벽돌에 무언가가 많이 쓰여 있었기에 줌으로 찍어 봤습니다.

 

 

한글도 있지만 대부분 한자로 쓰여 있었습니다. 한글은 낙서겠지만 한자는 뜻이 있을 겁니다. 조선시대의 성을 보면 성벽에 책임자의 이름(실명제)이 있다는 걸 웅천읍성에서 처음 알았었는데, 이를 명문석(銘文石)이라 하는데 웅천읍성의 동벽과 남벽에는 5개의 명문석이 확인되었다고 하는데 어쩌면 신라시대에도 공사 실명제가 있었는지 알 수는 없습니다.

 

 

 

전탑 뒷편에 당간지주(幢竿支柱)가 있습니다.

당간지주는 통일신라시대부터 사찰 앞에 설치했던 건축물로서 그 주변지역이 신성한 영역임을 표시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보통 돌로 만들지만
철·금동·나무로도 만들었다고 합니다. 2개의 기둥을 60~100㎝ 간격으로 양쪽에 세우고 마주보는 안쪽 면에 간을 설치하기 위한 간구나 간공을 두고 아래에는 간대나 기단부를 설치했습니다. 간구는 반드시 안쪽 상단에 있으며 그 아래의 간공은 구멍수가 일정하지 않으며, 현재 남아 있는 당간지주는 기단부가 거의 파손된 상태이며 모두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것이라고 합니다.

부석사 당간지주(보물 제255호), 숙수사지 당간지주(보물 제59호), 금산사 당간지주(보물 제28호), 중초사지 당간지주(보물 제4호), 보원사지 당간지주(보물 제103호), 천흥사지 당간지주(보물 제99호), 춘천근화동 당간지주(보물 제76호) 등이 있다고 하는데, 오후에 부석사로 가면서 부석사 당간지주를 만나기도 했습니다.

 

 

파손된 법림사 당간지주입니다. 양 지주의 상단은 6·25때 일부가 파손되었다고 합니다.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00호(1979.01.25 지정)인 운흥동 당간지주는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며, 당간지주란 절에서 불기나 괘불 등을 다는 깃대를 고정시키는 돌기둥입니다. 이 곳에 있던 이 지주(支柱)는 안동역 구내에 있는 동부동 5층전탑의 서편 5m 거리에 위치해 있는 통일신라시대 당간지주로 높이는 260cm입니다. 양지주의 윗부분이 6.25 전란때 파손되었고, 양지주 사이에 당간을 받쳤던 간대(杆臺)에는 원형주좌(圓形柱坐)가 장치되어 있습니다.
이 당간지주가 소속되어 있었던 절의 이름은 자세히 알 수 없으나, 동쪽에 있는 동부동 5층전탑과 같은 소속의 사원인 법림사(法林寺)였을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영가지(永嘉誌)』의 법림사(法林寺) 전탑(塼塔)에 관한 기록과『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의 법림사에 관한 기록에 의거하면 원래 7층이었던 동부동 5층탑이 임란 직후에 명나라 군인들에게 상륜부가 도둑맞아 5층탑이 되었고, 이 전탑과 5m거리에 가까이 위치한 당간지주와 함께 그 소속이 법림사였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고 합니다.

 

 

양 지주(支柱)의 각 면에는 지름 14㎝ 크기의 원형구멍이 각각 2개씩 있는데, 북쪽의 것은 관통되었으나 남쪽의 것은 반 정도만 뚫려 있습니다.

 

 

 

 

하면에는 2매의 장대석으로 구성된 주좌석(柱座石)이 있고, 중앙에는 지름 35㎝ 크기의 원형 당간공(幢竿孔)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안동역에서 아이들을 기다리는 한 시간을 아주 알차게 보낸 듯 합니다.

다시 보는 동부동 오층전탑과 당간지주입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