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함께 즐거우면 더 좋지 아니한가!
마음 나누기/가본 곳

수원 화성행궁의 가을풍경

by 실비단안개 2007. 11. 16.
728x90
728x90

'마음 나누기 > 가본 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꼭 일주일전의 풍경이다. 

일주일 동안 정신없이 바빴나 보다 -

 

행궁의 봄 풍경 : http://blog.daum.net/mylovemay/11689023

 

내용 출처와 더 자세히 알기 - 세계문화 유산 화성(華城)

http://hs.suwon.ne.kr/html/sub2/sub2_001.asp

 

화성행궁은 정조가 현륭원에 전배(展拜)하기 위하여 행행(幸行) 때에 머물던 임시 처소로서, 평상시에는 부사(뒤에는 留守)가 집무하는 부아(府衙)로도 활용하였다. 정조는 왕 13년 10월에 이루어진 현륭원 천봉부터 정조 24년 1월까지 12년간 13차례에 걸친 원행(園行)을 정기적으로 행하였다.
이때마다 정조는 화성행궁에 머물면서 여러 가지 행사를 거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정조가 승하한 뒤 순조 1년(1801) 행궁 곁에 화령전(華寧殿)을 건립하여 정조의 진영(眞影)을 봉안하였는데, 그뒤 순조·헌종·고종 등 역대 왕들이 화성행궁을 찾아 이곳에 머물렀다.

따라서 이 행궁은 조선시대에 건립된 수많은 행궁 중 그 규모나 능행면에서 단연 으뜸이 될 만큼 건축물의 규모 뿐만 아니라 성곽과 더불어 정치적·군사적 면에서 큰 의미를 갖고 있는 것이다.

정조때 최대의 역사였던 화성 성역은 1차적으로 화산의 현륭원 호위와 함께 팔달산 정상 바로 아래 성내 중심부에 건립된 행궁을 둘러싸면서 이를 수호하는 것을 중요 목적으로 설립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화성 행궁이 성곽과 더불어 단순한 건축조형물이 아니라, 개혁적인 계몽군주 정조가 지향하던 왕권강화정책의 상징물로서 정치적·군사적인 큰 의미를 지닌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화성행궁은 처음부터 별도의 독립된 건물로 일시에 건축된 것이 아니라 행궁과 수원부 신읍치의 관아건물을 확장·증측하는 가운데 조성되었다.
정조 13년 7월부터 현륭원 천봉을 앞두고 대대적인 구읍치의 관아와 민가의 철거작업이 시작되었다. 그리하여 화성행궁은 팔달산 기슭 아래로 신읍치를 이치(移置)하기 시작한 지 2개월 뒤인 정조 13년 9월 말에는 벌써 신읍에 조성된 관아 건물은 행궁 27칸을 비롯하여 삼문(三門) 5칸, 좌변익랑(左邊翼廊) 9칸, 우변익랑(右邊翼廊) 6칸, 서변행각(西邊行閣) 5칸, 서상고(棲上庫) 10칸, 중문 5칸, 내아(內衙) 34칸, 중문 4처, 객사 20칸, 중문 2처, 향교 51칸, 중문 1처, 군수고 19.5칸, 공수(公須) 7칸, 관청 5칸, 창사(倉舍) 60칸, 각처 담장 278칸 등에 이르렀다.

한편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행궁과 관아 건물은 신축과 증축을 거듭하여 정조 14년 5월 초에는 득중정(得中亭) 9칸, 대문 1칸, 진남루(鎭南樓) 6칸, 좌익문 3칸, 좌우익랑 6칸, 남익랑 6칸, 북익랑 5칸, 강무당(講武堂) 16칸, 와호헌(臥護軒) 15.5칸, 대문 1칸, 익랑 8칸, 장용영전목고(壯勇營錢木庫) 1칸, 잡물고(雜物庫) 2칸, 미고(米庫) 5칸, 비장청(裨將廳) 15칸, 향청 19칸, 군향고대청(軍餉庫大廳) 5.5칸, 고사(庫舍) 42칸, 고마고대청(雇馬庫大廳) 4.5칸, 고사(庫舍) 6칸, 관청대청 .5칸, 고사 18칸, 어승마마구(御乘馬馬廐) 10칸, 군기대청(軍器大廳) 6칸, 군수고·미고 6칸, 군기총검고(軍器銃劍庫) 5칸, 명륜당(明倫堂) 10칸, 집사청(執事廳) 24.5칸, 관창 17칸, 방영군 관청(防營軍官廳) 12칸, 토포군관청(討捕軍官廳) 19.5칸, 별효사청(別驍士廳) 6칸, 작청(作廳) 28칸, 영선(營繕) 10칸, 교방(敎房) 6칸, 객사익랑(客舍翼廊) 4칸, 외삼문 3칸, 외담장 199칸 등 공해와 군영 건물이 새로 세워졌다.

정조 14년간 『수원신읍영건공해간수성책』에 의하면 수원 신읍치에 건립된 건물은 크게 공해와 객사, 향교 및 군영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공해에는 장남헌(壯南軒)을 비롯하여 득중정(得中亭)·은약헌(隱若軒)·내아(內衙)·비장청(裨將廳)과 정문인 진남루(鎭南樓) 등이 포함되어 있다. 객사는 원래 그 안에 전패(殿牌)를 봉안하고 한달에 두차례씩 왕께 배례하며, 때로는 손님을 모시는 곳으로 수원 신읍치의 객사에는 벽대청과 동서헌(東西軒) 등이 있었다.

다음의 향교는 성전(聖殿)을 중심으로 전사청(典祀廳)과 동·서무, 동·서재(東西齋)가 마련되어 있었다. 끝으로 편의상 군영과 기타 건물로 구분하된 건물로는 강무당을 비롯하여 군기대청·군향고대청·초관청(哨官廳)과 그밖에 영선·별고·미고·집사청 등의 건물이 들어 있다.
당시 군영 건물은 장용영이 성립된 초기였던 만큼, 정조 17년 신읍치에 장용외영이 설치되고, 정조 19년과 정조 22년 군영의 일대 개편에 따라 그 건물도 늘어난 지휘자와 병력수에 따라 그 수용을 위한 신·증축을 거듭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화성행궁은 화성축조가 완공되는 것과 때를 같이하여 576칸 규모의 웅장한 건물이 되었다.

그 가운데는 이미 정조 13년에 건립된 부분 중 150여 칸을 활용하고, 거기에 더하여 새로 약 420여 칸을 증축한 것이었다. 즉 화성행궁은 신읍치를 처음 옮기던 정조 13년 9월에 행궁을 비롯하여 부속건물을 신축한 이래 정조 14년 5월 정당(正堂)·내아·득중정·진남루 등이 증축되고, 정조 18년 성역이 시작되어 정조 20년 완공되기까지 계속하여 행궁과 부속관아를 대폭 증축 또는 신축하여 총 576칸의 규모를 갖추게 되었던 것이다.
행궁은 평상시에는 외관인 수원부사(뒤에 유수)가 집무하는 지방행정의 관아로 사용하다가 왕의 원행시에는 왕의 거처로 이용되었다. 정조 13년에서 24년까지 왕의 현륭원 차배가 정례화된 화성행궁은 특히 서울 경복궁(景福宮) 다음의 부궁이라 할 정도로 다른 지방의 행궁보다 그 규모나 건축구조·기능면에서 단연 뛰어나고 웅장하게 건축된 것이 특징이다.

이 화성행궁 이외에도 서울 궁궐에서 현륭원에 이르는 원행의 노정(路呈)에도 왕의 주필하는 행궁이 건립되었다.
즉, 초기의 과천로(果川路) 때는 과천행궁·사근참행궁을 건립·이용했고, 정조 18년 시흥로(始興路)가 새로 개척됨에 따라 이 해 시흥행궁(114칸)과 안양행궁, 이듬해 안산행궁 등을 건립·활용하였다.
그러나 이들 과천·시흥·안양·안산·사근참 등 속읍(屬邑)에 건축된 행궁은 원행의 노정에 잠시 쉬어가는 주필소에 불과했고, 또 그 규모와 활용면에서도 화성행궁과의 비교가 안될 정도였다.

 

화성행궁 배치도 - http://hs.suwon.ne.kr/html/sub2/sub2_801.asp

 

교과서적인 풍경은 피하였다.

 

 

 

 

 

 

 

 

        ▲ 다산 정약용이 개발한 거중기

 

 

 

 

 

 

 

진주 - 경남수목원의 단풍  (0) 2007.11.18
통영 - 꿈 꾸는 동피랑(골목벽화)  (0) 2007.11.17
순천역, 부산역, 진해역의 가을 풍경  (0) 2007.11.15
수원화성의 담쟁이덩굴  (0) 2007.11.12
수원화성의 백만불 짜리 '행복나무'  (0) 2007.11.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