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함께 즐거우면 더 좋지 아니한가!
마음 나누기/맑은 사진 - 꽃과 …

자운영

by 실비단안개 2008. 4. 5.
728x90

 

며칠 연속 작업으로 움직이는 것이 무리지만 깽깽이풀이 궁금하여 견딜 수가 없어 일찍 나갔다.

산으로 가는 길, 자운영이 피어나고 있었다.

열흘 후쯤이면 몇 천평의 논이 분홍과 보라로 빛나겠지만, 스칠 수가 없어 그 풍경을 담았다.

 

이제 피어나는 깽깽이도 만났으며, 노루귀의 새로운 자생지를 확인하였고 개별꽃도 만났다. 남산제비꽃과 현호색은 지천이다.

봄꽃이 하루가 다르게 피어나는데 시간이 부족하여 담아 둔 꽃조차 포스팅을 못하는 처지지만, 꽃을 담는 일은 미룰 수가 없으며, 그날그날 닥치는 일 또한 모른척 넘길 수가 없다.

잠시 집에 들려 다섯 아이의 밥을 해 먹이고 오얏꽃과 복사꽃을 담고 다시 김달진문학관과 흑백, 중원로타리를 둘러 왔다.

 

우리 주변에는 수많은 꽃이 있는데 귀화식물과 순수 우리 들꽃이 있다. 귀화식물은 어느 사이 우리꽃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거나 그 이상의 대접을 받기도 한는데, 개망초와 자운영이 대표적인 귀화식물이다.

 

귀화식물 (物)

본래는 그 지역에 생육하지 않았으나 여러 원인에 의해서 2차적으로 도래 침입하여 야생화한 식물의 총칭.

특히, 본래의 식물상()을 구성하고 있던 기존식물에 새로 도래한 식물이 같은 환경하에서 공존하여 생활하며, 그 양자가 어느 정도의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른 것을 참뜻의 귀화식물이라고 한다. 같은 뜻을 가진 말에 이생() ·순화() ·이주() ·야화식물() 등이 있으나, 귀화라는 말이 관용어로서 널리 쓰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귀화식물이라 하면 여러 종류가 있으나 크게 5가지로 구분한다.

① 자연귀화식물 : 전혀 알지 못하는 사이에 도래하여 귀화상태가 된 엄밀한 뜻에서의 귀화식물이다. 따라서, 그 도래시기는 명확하지 않은 것이 많다. 돼지풀,도깨비바늘, 개망초, 실망초 ,망초 , 개쑥갓, 큰방가지�, 서양민들레, 큰개불알풀, 광대수염, 달맞이꽃 , 콩다닥냉이, 애기수영등이 있다.

② 인위적 귀화식물 :목초 ·사료 ·약용 ·식용 ·관상용 등의 여러 목적이나 용도에 의해 인위적으로 수입 재배된 유용식물이 야생상태가 된 것으로 자연귀화식물과 대조된다. 도래시기가 비교적 분명할 때가 많은 식물의 한 군()이다. 자운영, 개자리, 붉은토끼풀, 토끼풀, 메귀리등은 목초나 사료에서 유래하였고 미국형개는 약용에서, 뚱딴지, 물냉이 등은 식용에서, 데이지, 큰달맞이꽃, 분꽃 등은 관상용에서 유래되었다.

③ 가주귀화식물():도래의 상태가 자연 귀화의 경우와 똑같으나 6개월에서 2년의 짧은 기간 내에 자연 소멸되는 일시적인 것을 가리킨다. 개맨드라미가 이에 속한다.

④ 예비귀화식물() : 국부적으로 귀화식물로 되어 있으나, 널리 분포하지 못하고 있는 한 무리를 말한다.

⑤ 사전귀화식물():이제까지 열거한 귀화식물은 도래시기가 역사적으로 보아 비교적 분명한 것들이지만, 다시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 역사 이전에 국외로부터 도래하여 귀화했을 것이라는 학설도 있으며, 이것들을 하나로 묶어서 사전귀화식물이라고 한다. 이것들은 현재 논밭 등의 농경지 주변이나 인가 부근에서 생육하고 있다.

 

냉이 또는 별꽃, 괭이밥, 질경이, 개여뀌, 띠, 동방사니  등 우리 주변의 잡초들이 넓은 의미에서 사전귀화식물의 범주에 속한다. 귀화식물의 침입 전파 경로는 여러 가지이지만, 흥미로운 것은 외국과의 교통이나 국외로부터 물자의 수출입에 직간접으로 관계가 있는 장소, 예를 들면 항구(선박) ·비행장(항공기) 또는 세관 ·역(철도) ·각종 시험장 ·목장 ·종축장 ·양계장 · 식물원 · 약초원 ·방직공장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한국에서 볼 수 있는 귀화식물의 원산지는 거의 전세계에 걸쳐 있으나 그 주요지역은 유럽 · 아메리카 ·중국 ·인도 ·지중해 연안 · 오스트레일리아등지이다.

최근에 발견한 미국자리공은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1950년대에 미국의 구호물자와 함께 도래하여 남부지방에서 자라 점차 중부에까지 번지고 있다. 독성을 지닌 열매가 땅에 떨어져 토양을 강산성으로 변화시켜 다른 식물들이 자라는 것을 방해할 정도로 땅을 악화시킨다. 일부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에 급속도로 번지고 있어 환경오염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는 학자도 있으며, 한편 일부 지역에서는 귀화되어 가고 있으나 아직은 침입종으로 보는 거이 일반적이다. 동부아시아의 고유종인 칡 · 참억새등은 농산물의 포장 등에 묻어 미국 등지로 건너 가 귀화되었으며, 인동()은 관상용으로 미국에 도입되었다. 한국 고유종인 섬말나리는 관상용으로 일본에 이주되어 귀화한지 오래되었다.

 

 

 

 

 

 

 

 

 

 

 

 

 

 

728x90

'마음 나누기 > 맑은 사진 - 꽃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얏꽃(자두꽃)  (0) 2008.04.06
복사꽃이 피었다고 일러라  (0) 2008.04.06
진해 웅천 유채꽃 축제  (0) 2008.04.04
4월 1일 진해의 봄, 그리고 벚꽃  (0) 2008.04.01
자목련과 백목련  (0) 2008.03.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