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함께 즐거우면 더 좋지 아니한가!
마음 나누기/낙동江과 팸투어·답사

용선대, 기어서라도 오르길 잘 했다

by 실비단안개 2011. 12. 6.
728x90

람사르환경재단과 경남도민일보 주최, 갱상도 문화학교 추진단 주관 생태·역사기행 4 - 창녕

 

관룡사 내에는 관룡사 약사전 삼층석탑(유형문화재 제11호), 용선대 석조여래좌상(보물 제295호), 관룡사 석조여래좌상(보물 제519호), 관룡사 약사전(보물 제146호), 부도 등의 많은 불교 유적들이 있습니다.

관룡사의 유적들을 만나고 간 곳은 용선대입니다.

 

안내글에 관룡사에서 대체로 평탄한 길을 20여분 걸어 가면 닿는 곳이라고 했기에 그까짓 쯤이야 하며 일행과 동행했습니다.

얼마간은 정말 평탄했기에 걸을만 했습니다만, 평탄한 길을 벗어나니 돌계단이었는데 계단높이가 도시의 계단보다 높았기에 오르기에 무리였습니다.

계단이 아닌곳엔 소나무 뿌리가 드러나 있기도 했고요.

 

흙길, 시멘트길, 계단, 어느 하나 무섭지 않은 길이 없는 요즘입니다.

지난 2월 눈밭에 미끄러진 후 부터 걷기가 겁나는데, 창녕 역사기행 그날 오전 9시쯤 마산 신세계백화점앞 인도는 물청소중이었기에 물기에 미끄러질까봐 차도로 걷기도 했습니다.

비가 내리기라도 하면 집앞길에서도 미끄러질까 몸이 굳어지기에 용선대로 오르는 길은 그야말로 지옥으로 가는 길 같았는데, 백조로서 거금을 들인 카메라까지 들었으니 더 조심스러웠고 위험한 길이었습니다.

하루 몇 시간을 걸어도 끄덕없었던 과거와는 달리 몸이 많이 쇠약해졌기에 용선대 가는 길은 꼴찌를 할 정도로 힘이 들었지만, 내친 걸음이라 포기하지 않고 기어오르다시피 했습니다.

(내려오는 길 역시 미끄러움에 대한 공포로 겨우겨우 내려왔습니다.)

출발과 도착 시간을 찍힌 사진으로 보니 1시간 이상 걸렸을 것 같은 용선대 가는 길은 진짜 20분이 조금 넘었습니다.(27분) 하하

 

관룡사를 벗어나면 소나무숲이 나오는데, 소나무는 운문사 가는 길의 소나무처럼 상처가 있습니다.

일제강점기때 소나무의 송진을 끓여 송탄유를 만들기 위해 소나무마다 상처가 있는데 눈여겨 보시기 바랍니다.

 

 

천부인권님이 용선대를 제대로 보려면 따라 오르라고 하여 용선대 윗쪽의 바위에 오르니 용선대와 용선대 아래 마을이 한 눈에 들어 왔습니다.

기어서라도 오르길 잘 했다는 생각이 절로 들 정도로 사방이 탁 트여 시원했기에 용선대 윗쪽 바위까지 오른 건 더 잘 한 일이었습니다.

 

용선대와 석가여래좌불입니다.

불가에서 용선이란 고해의 바다를 헤치고 가는 반야용선(般若龍船)을 뜻하는데, 반야용선은 중생이 사바세계에서 깨달음의 세계인 피안(彼岸)의 세계로 가게 해주는 반야바라밀의 배입니다.

용선대 가여래좌불은 보물 295호로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얼굴은 원만하고 단아한 인상이며 얼굴은 두툼하니 잘 생겼습니다.

아래로 처진 옷자락이 정형화돼 석굴암 보존불에는 못미친다는 평을 받지만, 세계적 명물인 석굴암 보존불에 비겨 말할 정도니까 아무렇게나 여겨도 될 부처는 아니라고 합니다.

 

신라석공의 숨결을 느끼기엔 지식이 한없이 부족하지만, 누군가는 산행시 가족의 건강을 기원했을 테고, 또 누군가는 입시와 취직을 기원했을 석가여래좌불은 중생들이 사는 마을에서 고개를 돌려 동쪽을 보고 있습니다.

원래는 용선이란 중생을 구제하는 것이니 마을을 바라보고 있었지만, 일제 때 남향에서 동향으로 부처의 방향을 바꾼거라고 합니다만, 석가여래좌불이 바라보는 방향 아래에 관음사가 있으니 진실이 무엇인지 알 수 없습니다.

 

▲ 용선대와 석가여래좌불

 

▲ 목책 아래는 낭떠러지기에 기대면 위험합니다.

위 사진들은 아래 사진의 붉은 이 있는 곳에서 찍었으며, 아래는 용선대에서 찍었습니다만, 용선대에 안전을 위해 목책이 쳐졌기에 여러방향에서 찍을 수 없었습니다.

 

 

 

 ▲ 용선대 석가여래좌상이 바라보는 곳은 관음사가 아닌 윗쪽의 산이었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