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함께 즐거우면 더 좋지 아니한가!
마음 나누기/맑은 사진 - 꽃과 …

화엄사 길상암의 천연기념물 야생매화(野梅), 산수유와 홍매화는 덤

by 실비단안개 2019. 2. 19.
728x90

2018년 3월 23일

화엄사 구층암에서 (약 50m쯤)해장죽 오솔길을 따라 내려가면 언덕위에 암자 하나가 있습니다. 화엄사의 여러 암자중 안내 표지판에도 없는 길상암입니다. 길상사를 뉴스에서 자주 접하다보니 낯설지 않은 이름입니다.(창원에도 길상사가 있음)

화엄사에 들어서는 발길은 그렇게 많았지만 화엄사 뒤편의 구층암에 가면 거짓말처럼 사람들 겨우 몇 만날 수 있으며 길상암에서는 스님외에는 누구도 만날 수 없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화엄사만 보고 내려가는 듯합니다.

우리는 길상암의 야생매화를 만나러 갑니다. 야생매화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기도 합니다.

 

 

야생매화보다 먼저 눈길을 잡은 건 길상암 언덕의 홍매와 뒷쪽의 산수유였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야생매화를 잊지않고 먼저 만났습니다. 야생매화는 언덕아래 시눗대를 울로 삼아 위태롭게 서 있었습니다.

 

 

붉은 색으로 표시된 나무가 야생매화나무입니다. 야생매화는 '화엄사 매화'로 천연기념물 제 48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수령은 450년을 추정한다고 합니다. 인간은 길어야 100세안팎인데 화엄사 매화는 450년을 한 자리에서 다시 봄을 맞아 꽃을 피우며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유명한 매화가 많은데 수령(樹齡. 나무의 나이)이 350년에서 600년으로 추정되는 장성 백양사 고불매(古拂梅), 구례 화엄사 매화, 순천 선암사 무우전매(無憂殿梅), 강릉 오죽헌 율곡매(栗谷梅) 등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데 이날 선암매와 화엄사 매화를 만났습니다.

 

 

화엄사 어디에도 길상암과 천연기념물 야매 안내가 없습니다. 아마 많은 이들은 화엄사의 흑매를 천연기념물로 알고 있을 텐데 천연기념물 야매는 그야말로 아는 사람만 아는, 그렇게 깊지 않은 곳에 450년동안 세상풍파를 다 겪으며 우뚝 서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야매나무는 튼튼한 밑둥에 키가 하늘에 닿을 듯 기세등등했지만 매화의 화려한 맛이 없고 위치 또한 사진을 찍기에 애매한 장소였습니다. 꽃도 높은 가지끝에 드문드문 피어 있었기에 근접촬영이 불가능했으며 향기가 짙은 야매임에도 꽃이 너무 높게 피어 있었기에 향기조차 맡을 수 없었으니 이 매화나무를 만나려면 천상 길상암을 찾는 수 밖에 없을 듯 합니다.

 

 

야매앞에는 '화엄사 매화'안내 표지판이 있었습니다. 고마웠습니다.

이 매화나무는 속칭 들매화로 알려져 있는데 사람이나 동물들이 먹고 버란 씨앗이 싹이 터서 자란 나무로 짐작되기 때문이다. 이런 들매화는 개량종 매화보다 꽃이 작고 듬성듬성 피지만 단아한 기품과 짙은 향기는 개량종 매화가 따라오지 못 한다. 토종 매화 연구의 학술적 가치가 크다.

 

화엄사 매화의 수피는 이끼에 싸여 있었으며, 나무는 금방이라도 주저앉을 듯 위태로운 자태였지만 자연의 맛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었습니다.

 

 

듬성듬성 핀 들매화입니다.

 

 

길상암 언덕아래 웅덩이 곁에 또 한 그루의 매화나무가 있었는데 이 매화나무도 야매인 듯 했으며 수피는 역시나 이끼가 감싸고 있었습니다.

 

 

 

 

오랫동안 야매곁을 맴돌다 길상암으로 올랐습니다. 길상암으로 오르는 언덕에는 홍매가 흐드러졌으며 암자뒤 샛노란 산수유는 봄을 밝히는 등불같았고 조금 아래에는 백매도 한껏 피어 있었습니다.

 

 

수목 사이에 차나무가 있습니다.

 

 

홍매는 화엄사의 흑매보다 색이 엷었으며 흑매보다 개화가 빨랐기에 다행이다 싶었습니다.

 

 

 

 

단아한 길상암입니다. 부속건물 없이 암자만 있었는데 스님들이 유유자적 봄날을 즐기고 있었습니다.

길상암은 옛터에 명곤스님이 1992년 복원했다고 하며 뒤로는 동백이 울창하며 앞으로는 차나무가 있었습니다.

 

 

산수유꽃이 활짝 피었습니다. 그러나 아주 가까이 다가갈 수 없는 위치였습니다.

 

 

 

전각뒤의 동백나무숲입니다. 이 역시 다가갈 수 없었습니다.

 

 

전각 마당에 앉은 얼라아부지입니다. 속세를 떠난 듯 편안했답니다.

 

 

산수유와 동백군락을 만나고 오니 스님들의 모습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조용히 즐겼는데 거슬린 걸까요.

화엄사 뒤쪽의 동백을 만나고 섬진강이 보이는 연기암으로 갑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