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함께 즐거우면 더 좋지 아니한가!
마음 나누기/사람이 있는 풍경

진주성[晉州城]의 사람들

by 실비단안개 2006. 8. 3.
728x90
 진주성 [晉州城]

 

사적 제118호. 1963년 지정. 일명 촉석성()이라고도 한다. 본래 백제 때의 거열성지()였다고 하며, 고려 말 공민왕() 때 7차례 중수되고 왜구 방비의 기지로 사용되었다. 내성의 전체 넓이 200m2, 둘레 약 600m, 외성의 둘레 약 4km이다.

임진왜란 때는 김시민() 장군이 왜군을 대파하여 임란3대첩() 중의 하나가 벌어진 곳이며, 1593년 6월 왜군의 재침시에는 군관민 6만이 최후까지 항쟁, 장렬한 최후를 마쳤으며, 이 때 논개()는 적장을 안고 남강()에 투신하였다. 기록에 보면 1605년(선조 38) 병사(使) 이수일()이 진()을 성내로 옮기고 성이 너무 넓어 수비가 곤란하다 하여 내성을 구축하게 되었는데, 성은 자연 촉석루를 중심한 현 진주공원 일대의 외성과 현재의 성내동() 주변 내성의 둘로 나눠지게 되었다. 그 뒤 병사 김태허()가 1607년 포루() 12개를 증축하였고, 18년(광해군 10) 병사 남이흥()이 성 수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지금의 진주성은 대략 이 때 완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 네이버 백과)

 

7월 31일 --

오랜만에 진주성을 찾았다.

많이 더운 날이었으며, 월요일이라 박물관이 휴관이었지만 진주성은 방문이 가능하였고, 촉석루와 진주성 곳곳에는 많은 사람들이 더위를 잊고 있었다.

사람이 더 아름다운 진주성 ---

 

▲ 김시민 장군 동상

 

진주대첩 []

특히 제1차의 진주싸움은 임진왜란의 3대첩() 중의 하나로 꼽혀 진주성대첩이라고도 하며, 제2차의 진주싸움은 의기() 논개()의 죽음으로 알려진 싸움이다.

① 제1차 진주싸움: 1592년(선조 25) 10월 5일 진주에 이른 나가오카 다다오키[] 휘하의 왜군 약 2만 명은 수천 죽제(:대나무 사다리)를 만들어 진주성을 공격, 진주목사(使) 김시민()이 지휘한 3,800명의 조선군과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졌다.

조선군은 성문을 굳게 닫고 화약을 장치한 대기전()을 쏘아 죽제를 파괴하고, 마른 갈대에 화약을 싸서 던지거나 끓는 물과 큰 돌을 던지는 등 필사적으로 싸운 끝에 10배에 이르는 왜군의 공세를 분쇄하였다. 왜군은 10월 10일에 6일간의 대접전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고 패주했는데, 이 싸움에서는 의병대장 곽재우()의 응원이 적과 아군에게 심리적으로 큰 역할을 하였다. 이 싸움의 승리로 다른 경상도 지역을 보존하였을 뿐만 아니라, 적으로 하여금 호남지방을 넘보지 못하게 하였다.

② 제2차 진주싸움: 제1차 싸움에서 참패로 위신이 손상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1593년 6월 가토 기요마사[고니시 유키나가[西우키타 히데이에[] 등에게 복수전을 하도록 특별 명령을 내렸다. 왜군은 6월 15일부터 작전을 개시하여, 18일까지 함안()·반성()·의령()을 점령하고, 19일 3만 7000명의 병력이 진주성을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이 당시 진주성에는 창의사(使) 김천일(), 경상우병사(使) 최경회(), 충청병사 황진(), 사천현감() 장윤(), 의병장 고종후()·이계련(민여운()·강희열(), 김해부사 이종인() 등이 이끈 3,400명의 병력과 6∼7만 명의 일반민이 있어, 피아의 전투력은 비교가 되지 않았다.

싸움은 6월 22일부터 본격적으로 전개되어 왜군은 귀갑차() 등 특수한 병기로써 파상공격을 거듭하고, 일진일퇴의 치열한 공방 끝에 거의 모든 장병이 죽고, 29일에 진주성은 함락되었다. 성이 함락되자 왜군은 성안에 남은 군·관·민 6만 명을 사창()의 창고에 몰아넣고 모두 불태워 학살하였을 뿐만 아니라 가축도 모두 도살하였다. 이 싸움은 임진왜란 중에 벌어진 전투 가운데 최대의 격전으로 꼽히는데, 비록 싸움에는 패하였으나 왜군도 막대한 손상을 입었다. (출처 : 네이버 지식iN)

 

 

▲ 지수정 - 논개의 영정

 

 

▲촉석루 입구에서 어른 세분을 만나 기념으로 담았다. 내 블로그 주소를 드리고 ---

 

 

촉석루 []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8호. 정면 5칸, 측면 4칸. 고려 말의 진주성()을 지키던 주장()의 지휘소이다. 1365년(공민왕 14) 창건된 것으로 전해지며 임진왜란 때 왜적이 침입하자 총지휘는 물론 남쪽 지휘대로 사용하였으므로 남장대()라고도 하였다.

촉석루에 관한 기록을 보면 《진양지()》에 고려 때 김중선() 등이 진주성 수축시 신축하였다고 하였으며, 《동국여지승람》에는 김주()가 영남루()를 중건할 때 촉석루를 본보기로 하였다고 되어 있다. 누기()에는 조선 초 목사 권충()과 판관 박시결()이 중건하고 하륜()이 누기를 지었다고 되어 있다. 또한 임진왜란 때 의기 논개가 낙화(), 순국한 곳으로도 유명하다. 현재의 건물은 1973년에 재건된 팔작지붕의 와가()이다.

 

▼ 촉석루에는 많은 사람들이 함께하였다.

손녀와 할머니, 친구, 연인, 부자간 ---

 

 

 

 

 

 

 

북장대 []

1983년 7월 20일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4호로 지정되었다. 임진왜란 때 격전을 벌였던 곳으로 1618년(광해군 10) 병마절도사 남이흥()이 중건한 이래 여러 차례 중수()하였다.
군사 건물 가운데 조선 중기에 속하는 다락집형으로 후대 군사 건물의 모범이 되었다. 내성() 북쪽 끝 제일 높은 곳에 지어져 낭떠러지 아래 성밖과 성내, 외성()에 포진한 성병()까지 지휘할 수 있는 천혜의 요새였다. 그래서 편액()은 〈진남루()〉인데 공북루()라는 별칭으로도 불렸다.

 

 

 

 

진주성 비석군[晋州城碑石群]

조선조 선조 37년(1604) 합포(마산)에 있던 경상도 우병영을 진주성으로 옮긴 병사 검목사 이수일의 유애비를 비롯, 효종 10년(1656) 목사 성이성의 창덕 유애비등 조선 시대에 세워진 30여기의 비석군이다. 이 비석들은 진주성 또는 시내 각처에 있던 것을 1973년 문화재보호협회 진주지부에서 모은 것이다.

 

 

 

 

 

 

 

 

728x90

'마음 나누기 > 사람이 있는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관리인  (0) 2006.11.19
개인 박물관 만드는 고물쟁이 김씨 이야기  (0) 2006.09.21
장영준 화백님 - 3  (0) 2006.07.21
작업  (0) 2006.07.13
삶 - 비 내리는 날의 시골장  (0) 2006.06.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