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함께 즐거우면 더 좋지 아니한가!

마음 나누기/맑은 사진 - 꽃과 …846

칠면조꽃(칠변화) 수국(水菊)과 산수국(山水菊), 병꽃 꽃색이 칠면조처럼 환경에 따라 변하는 꽃이 있다. 일명 칠변화라고도 하는 수국(水菊)이다. 처음에는 희다가 분홍색 또는 붉은색으로 되기도 하고, 하늘색·청색으로도 된다. 이렇게 꽃잎의 변화가 심한 이유는 토양의 산도 때문이다. 토양이 중성이면 흰색이지만, 산성이면 청색으로, 알칼리성이면 .. 2008. 6. 27.
큰까치수염 군락은 아니었지만, 큰까치수염을 만났다. 가까운 곳에 군락이 있는데 차일피일 미루다보니 다른 곳에서 먼저 만난 것이다. 까치수영, 까치수염 - 그동안 둘 다 유효한 걸로 알고 포스팅을 하였으며, 어떤 검색에서는 '까치수영'이 사전에 먼저 표기가 된다는 내용도 있었다. 까치수영(나는 보통 까치.. 2008. 6. 24.
수련(睡蓮)을 보며 동화 그리기 지난해 하얀 수련 한송이를 만난 아주 작은 연못이다. 연못이라기 보다는 담수수족관이라고 해야 더 잘 어울릴 것 같다. 오늘도 살금살금 가니 수련 세송이가 피어 있었다. 세송이 모두 하얀색이며, 비슷한 모양이기에 아주 단조롭다. 너비가 1M가 채 되지 않으며, 주위가 수목이라 수련 한송이 한송이.. 2008. 6. 23.
소쌀밥나무 자귀나무꽃 지난 토요일, 비가 살풋 멎기에 카메라를 들고 나갔었다. 언젠가 담은 강아지풀의 물방울을 다시 담고 싶어 나갔는데, 우리집에서 50여m 거리의 그 길에 높이 4~5m의 벽이 가로막혀 있었다. 그길은 시내에서 올 때의 지름길이기도 하며, 이른봄에 수선화, 삼지닥나무, 매화를 만나러 가는 길이기도 하고 .. 2008. 6. 23.
비 잠깐 멈춘 사이에 만난 흔한 몇 가지 또독또독 내리던 비가 굵어지고, 그러다 잠시 멎었다. 순박한 색의 겹치자꽃이다. 백합처럼 멀리서도 존재를 알려온다. 민들레 씨앗이며, 아래는 씨앗을 날린 민들레의 쓰러진 꽃대다. 덩이괭이밥은 햇살이 좋아야 꽃잎을 연다. 흐리거나 이른 아침 시간에는 활짝 핀 모습은 만나지 못한다. 해바라기.. 2008. 6. 21.
백합 백합 좋은 날 다 두고 꼭 장마철에 피더라. ▲ 6월 17일 비가 많이 내린다. 이늠 어떻게 버티나, 아직은 꿋꿋하다. * 광우병 소 수입 반대 펼침막 보내기에 동참하는 방법 : http://bloggernews.media.daum.net/news/1317981 * 아고라 서명 : 펼침막 보내기 : http://agora.media.daum.net/petition/donation/view?id=50596 진해 촛불문화제 .. 2008. 6. 18.
노란꽃에 노란나비 6월 14일 오후 기사 아저씨에게 접선중인데 폰이 부웅ㅇ~ 한다. 문학관의 학예사님이셨다. 지금 버스로 가는 중입니다~^^ 내려 걷는데 작은 무엇이 팔랑한다. 행사 시간이 오후 4시였는데 3시 버스로 이동을 하였기에 잠시 여유가 있으니 샛길에서 놀기. 아- 바람 -- 무슨 꽃일까요? 진해 촛불문화제 * 6월 .. 2008. 6. 15.
노랑나비 흰나비 하루도 꽃 지는 날은 없다. 우리 마음도 이와 같아라. 꽃잎과 꽃술은 나비에게 상처를 주지않았을텐데, 나비는 상처가 많다. 그래도 너울너울, 나풀나풀 잘도 난다. 우리 서로 보기에는 웃는 낯이지만, 가슴 깊은 곳에는 아픔 하나 둘 모두 있겠지. 나비는 머리에 한 쌍의 더듬이와 두 개의 겹눈이 있고 .. 2008. 6. 4.
인동초(忍冬草)꽃 - 08 인동초는 전국 각지의 숲 가장자리를 비롯한 산과 들에서 흔히 자라고 있는 넝쿨나무이며 추운 겨울에도 견뎌 내는 인동과의 반상록 만목(반 늘푸른 넝쿨나무)이다. 인동초는 겨울철에도 말라죽지 않고 살아 있으며 따뜻한 지역에서는 푸른 잎을 유지하며 겨울을 지내기 때문에 '겨우살이 넝쿨'이란 .. 2008. 6. 1.
바람개비꽃(백화등) 골목을 걸었습니다. 올려져 있겠지만, 그래도 다시 한번 블로그에서 검색을 하였습니다. 오늘이 5월 31일입니다. 검색을 하니 지난해 5월 31일 에도 오늘 걸은 골목길을 걸었네요. 그냥 반갑습니다. 1년전의 저를 만났으니까요. 2007년 5월 31일 오전에 바람개비꽃이 가득한 담장을 담았다. 바람개비꽃은 마삭줄 종류이지만 마.. 2008. 5. 31.